참여마당

2025 치안현장 안전장비 아이디어 공모전

[심사중] 2025 제4회 경찰 안전보호장비 개발 아이디어 공모전 심사


[심사기간] 2025.09.01(월) ~ 2025.09.14(일)

[발표예정] 2025.09.17(수) → 21(일)


[공모종료] 2025 제4회 경찰 안전보호장비 개발 아이디어 공모전


[공모기간] 2025.08.18(월) ~ 2025.08.31(일)



※ 본 공모전은 경찰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지원하는 치안현장맞춤형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스마트 모듈형 경찰관 안전보호 장비 시스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김진수
조회 54회 작성일 25-08-23 19:16

본문

※ 해당 공모에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의거, 시상 정보 확인에만 사용됩니다 ※
※ 공모자의 [성명]과 [연락처]를 기재 바랍니다. 시상 시 연락 수단으로만 활용됩니다 ※
※ 제안서 첨부 시 파일 명에 공모자 성명 기입을 부탁드립니다 ※
※ 예시) [첨부]아이디어 공모전 제안서(홍길동) ※

1. 아이디어명
  “스마트 모듈형 경찰관 안전보호 장비 시스템”
2. 개요
  ▢ 아이디어 소개
  ㅇ 경찰관이 현장에서 범죄자 제압 및 교통 단속, 집회 관리 등의 다양한     
          상황에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웨어러블 기반 안전보호 장비와 스마트   
        통합 시스템을 결합한 장비임
▢ 아이디어 범위
 ㅇ 경찰관 개인 보호 (헬멧·조끼), 상황인지 (바디캠·센서), 스마트 통신   
        (실시간 관제센터 연계)까지 포괄함

3. 문제점 및 필요성
  ▢ 등장배경 (문제점)
  ㅇ 최근 강력범죄, 돌발 상황, 집단 시위 등으로 인해 경찰관의 1차 안전     
        확보가 중요한 사회적 과제가 됨
 ㅇ 단순한 장비 착용에서 벗어나, 실시간 위협 탐지와 대응 기능을 갖춘     
        스마트 장비 필요성이 증대
▢ 필요성
 ㅇ  경찰관 개개인이 체력·상황 인지 능력에 의존하는 기존 체계는 한계
    ㅇ 첨단기술을 접목해 효율적·체계적인 안전망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4. 아이디어 내용
▢ 문제해결 방안 및 구체화 방법
  ㅇ 스마트 보호 헬멧 : 충격 흡수, 카메라 장착, 음성 명령 인식 가능
  ㅇ 웨어러블 방탄조끼 : 심박수·체온·위치 모니터링 센서 내장
 ㅇ  AI 분석 바디캠 : 위협 행동 (칼·폭행 동작 등) 자동 감지 → 경고음      및 자동 알림
  ㅇ 스마트 지휘시스템 : 관제센터와 경찰관 장비를 실시간 연계하여 돌발      상황 즉시 지원
▢ 기술분야
  ㅇ IoT 센서 네트워크
  ㅇ 무선 통신 연동 (5G / LTE)
 ㅇ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분석 및 기록 저장
▢ 세부 실행계획
 ㅇ  1단계 (3개월) : 시제품 개발 (웨어러블 + 바디캠 + 헬멧 결합형)
 ㅇ  2단계 (3개월) : 경찰서별 시범 적용 (교통경찰·순찰 경찰 중심)
 ㅇ 3단계 (6개월) : 전국 확대 보급 및 지속적 개선
▢ 소요 비용 (총 1억 65백만원, 시범사업 기준,)
 ㅇ  웨어러블 방탄조끼 (30벌) : 45,000천원 / 센서 포함
  ㅇ 스마트 헬멧 (30개) : 30,000천원 / 카메라·음성인식 포함
 ㅇ  AI 바디캠 시스템 (30세트) : 60,000천원 / 위협감지 기능
  ㅇ 통합 관제 서버 구축 : 20,000천원 / 클라우드 연동
 ㅇ  유지보수·교육 : 10,000천원 / 장비 교육·A/S

5. 기대효과
▢ 정량효과
  ㅇ 범죄현장 대응시간 20% 단축
 ㅇ 경찰관 안전사고 발생률 30% 감소 예상
▢ 사회적 효과
  ㅇ 경찰관 안전성 확보 → 시민 신뢰 상승
  ㅇ 경찰관 가족들의 심리적 안심 효과 확대
▢ 경제적 효과
 ㅇ  경찰관 부상 / 순직에 따른 사회적 비용 절감 (연간 수십억 규모)
▢ 파급효과
  ㅇ 소방관, 군인 등 타 분야 안전장비로 확장 가능
  ㅇ 국내 치안기술 산업 발전 및 수출 가능성 확보

6. 조치사항
 ㅇ 관련 법령 검토 (경찰청 장비 도입 절차 간소화 필요)
 ㅇ  기술 협력사 선정 (국내 IoT, AI 스타트업)
 ㅇ  시범사업 예산 확보 (행안부·과기정통부 협력)
 ㅇ  장비 표준화 및 유지보수 체계 마련


(4. 제안서 첨부)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