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마당

2025 치안현장 안전장비 아이디어 공모전

[심사중] 2025 제4회 경찰 안전보호장비 개발 아이디어 공모전 심사


[심사기간] 2025.09.01(월) ~ 2025.09.14(일)

[발표예정] 2025.09.17(수) → 21(일)


[공모종료] 2025 제4회 경찰 안전보호장비 개발 아이디어 공모전


[공모기간] 2025.08.18(월) ~ 2025.08.31(일)



※ 본 공모전은 경찰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 지원하는 치안현장맞춤형 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됩니다 

Smart Protective Gear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전지수
조회 60회 작성일 25-08-26 09:49

본문

※ 해당 공모에 제공하신 개인정보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의거, 시상 정보 확인에만 사용됩니다 ※
※ 공모자의 [성명]과 [연락처]를 기재 바랍니다. 시상 시 연락 수단으로만 활용됩니다 ※
※ 제안서 첨부 시 파일 명에 공모자 성명 기입을 부탁드립니다 ※
※ 예시) [첨부]아이디어 공모전 제안서(홍길동) ※

1. 아이디어명
  - 스마트 보호복(Smart Protective Gear)

2. 개요
 
제1장 스마트 보호복 개발의 의의
1. 배경 및 필요성
현대 치안 현장은 범죄 유형의 다양화와 위험성 증가로 인해 경찰관들의 신체적·정신적 안전 확보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기존의 방탄복은 무겁고 유연성이 떨어져 경찰관의 기동성과 활동성을 저해하며, 실시간 건강 상태나 위험 상황을 파악할 수 없어 긴급 대응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경찰관의 안전과 업무 효율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첨단 스마트 보호복 개발이 필요합니다.

2. 목적
경찰관의 생체 신호 및 현장 환경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위험 상황을 조기에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

경량·유연한 방탄 및 충격 완화 소재를 적용하여 착용 편의성과 보호 성능을 동시에 강화

GPS 및 실내 위치 추적, 긴급 호출 기능을 통합해 현장 안전망을 강화

데이터 기반의 체계적 건강 관리 및 위험 예측 시스템 구축으로 장기적 경찰관 안전 및 건강 증진

3. 주요 기능
심박수, 체온, 호흡 등 생체 신호 실시간 측정 및 모니터링

충격 감지 센서와 충격 완화 방탄 소재 적용

GPS 및 BLE/UWB 기반 위치 추적 시스템

독성 가스, 온습도 등 환경 위험 감지 센서 탑재

무선 충전 시스템과 저전력 설계

사용자 맞춤형 인체공학적 설계

본부 및 개인용 통합 관리 플랫폼 연동

4. 기대 효과
경찰관 현장 생명 안전 보호 강화 및 치명적 부상 감소

피로도 저감 및 업무 효율성 증가

긴급 상황 신속 대응 및 구조 성공률 향상

빅데이터 기반 위험 예측 및 건강 관리 고도화

경찰관 만족도 및 조직 이미지 개선

5. 추진 방향
최신 센서 및 신소재 연구 개발과 시제품 제작

현장 테스트 및 피드백을 통한 기능 개선

통신 및 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보안 강화

단계별 도입 및 교육 프로그램 병행 진행

제2장 스마트 보호복 기술적 구현 방법
1. 생체 신호 모니터링 시스템
센서 종류 및 배치

심박수: 광혈류측정(PPG) 센서, 보호복 내 팔목, 가슴 부근 배치

체온: 적외선 온도 센서 또는 피부 접촉형 온도 센서, 가슴 및 목 부근

호흡량: 가슴 부위 스트레인 게이지(신축성 센서)

혈압(간접 측정): 심박수와 혈관 압력 변화를 결합한 알고리즘 적용

데이터 처리 및 전송

센서 신호는 저전력 마이크로컨트롤러(MCU)에서 필터링 및 처리

BLE(Bluetooth Low Energy) 혹은 LoRaWAN 같은 저전력 무선통신 모듈로 스마트폰 또는 본부 서버에 실시간 전송

전력 관리

배터리는 보호복 내 소형 리튬폴리머 배터리 사용

센서 작동 시간 최적화를 위한 스마트 전원 관리 칩 적용

2. 충격 완화 및 방탄 신소재 적용
소재 개발 및 적용

방탄 기능: 케블라(Aramid fiber), UHMWPE(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섬유 복합재료

충격 완화: 충격 흡수 젤 패드 혹은 스마트 메타머터리얼(능동적으로 충격을 분산하는 소재)

유연성 향상을 위해 층별 소재를 조합하고,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계

충격 감지 센서

압력 센서(포스 센서), 가속도계 및 자이로센서 내장

충격 시 데이터 MCU로 전달해 충격 위치, 강도 분석 후 알림 발송

보호복 구조

모듈화된 패널 형태로 충격 흡수 소재와 방탄 소재를 결합

3. 위치 추적 및 긴급 구조 시스템
위치 추적 기술

GPS 모듈 탑재 (예: u-blox, Quectel 모듈)

실내 위치 추적: BLE 비콘 네트워크 또는 UWB(Ultra Wideband) 기술 활용

긴급 호출 버튼

보호복 어깨나 팔 부위에 누르기 쉬운 내구성 버튼 내장

버튼 누름 혹은 충격 감지 시 MCU에서 자동으로 신호 송출

통신 및 알림

LTE/5G 모듈 연동 또는 경찰망 무전기 시스템과 연동 가능

본부 및 경찰관 개인 앱으로 알림 및 위치 정보 전송

4. 통합 환경 감지 센서
가스 및 화학물질 센서

전기화학식 센서 또는 반도체 센서로 CO, 독성 가스 감지

MEMS 기반 미세먼지 센서 내장 가능

온습도 센서

디지털 온습도 센서(DHT22, SHT3x 시리즈 등) 적용

센서 네트워크 및 데이터 연동

MCU에서 수집 데이터 필터링 및 위험 임계치 도달 시 알림 전송

5. 무선 충전 및 에너지 효율 시스템
무선 충전

Qi 표준 무선 충전 모듈 내장, 출퇴근 시 무선 충전 패드에 보호복 접촉만으로 충전

배터리 과충전 방지 및 안전성 강화 위한 충전 관리 IC 포함

전력 절감

MCU 내 저전력 모드 활용 및 센서 동작 간격 조절

동작 감지 시만 센서 활성화, 대기 시 전력 최소화 설계

6. 사용자 맞춤형 착용감 개선
인체공학적 설계

3D 스캔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양한 체형별 패턴 제작

신축성 원단 및 벨크로 조절 부위로 사이즈 조절 가능

통기성 원단 적용

메쉬 구조의 기능성 원단과 방수 기능성 코팅 소재 결합

땀 배출 및 열 발산을 돕는 디자인

7. 데이터 연동 및 관리 플랫폼
데이터 수집 및 저장

클라우드 기반 서버와 연동해 실시간 데이터 저장 및 관리

데이터 보안 위한 암호화 통신 적용 (TLS/SSL)

대시보드 및 알림 시스템

웹 및 모바일 앱 형태로 상태 모니터링, 이상 징후 자동 알림

AI 분석 모듈로 위험 예측 및 패턴 분석 기능 포함

제3장 스마트 보호복 도입 기대효과
1. 경찰관 생명과 안전 보호 강화
치명적 부상 감소율 30~50% 이상 기대

충격 완화 소재와 실시간 충격 감지 시스템 덕분에 총격·타격 등 현장 사고 시 부상 심각도 크게 감소

응급 상황 조기 인지로 생존율 향상

실시간 생체 신호 모니터링과 자동 긴급 호출 기능으로 위험 상황 발생 즉시 신속 구조 가능

응급 대응 골든타임 단축으로 치명적 상황 사망률 감소 (예: 골든타임 내 도착률 20% 이상 향상)

2. 현장 대응력 및 업무 효율성 증대
경찰관 피로도 15~25% 감소

생체 데이터 기반 AI 피로도 분석 및 휴식 권고로 과로 방지 및 업무 지속력 향상

실시간 위치 추적 및 환경 위험 감지로 상황 판단 신속화

본부와 현장 간 정보 공유 속도 및 정확성 증가 → 현장 지휘 및 대응력 최대 30% 개선

장비 무게 20~30% 경감으로 민첩성 및 기동성 향상

경량 신소재 적용과 인체공학적 설계로 신체 부담 감소, 더 빠르고 정확한 현장 움직임 가능

3. 긴급 구조 및 협업 시스템 개선
긴급 호출 및 구조 요청 성공률 95% 이상 보장

자동 호출 시스템 및 실시간 위치 공유로 구조 요청 실패 최소화

현장 상황 실시간 공유로 부대 간 협업 강화

영상·음성 데이터 실시간 전송으로 다중 부대 동시 상황 파악 가능

부대 간 긴밀한 협력으로 작전 성공률 향상 (10~20% 증가 기대)

4. 데이터 기반 예방 및 정책 개선 효과
빅데이터 분석 통한 사고 예측률 70% 이상 달성 목표

근무 패턴, 환경 위험, 개인 상태 등 데이터 결합 분석으로 사고 위험 사전 예측 및 예방 조치 가능

경찰관 건강 관리 체계 고도화

장기적 건강 이상 조기 발견, 만성 질환 예방으로 인력 유지율 10% 이상 개선 기대

5. 경찰관 만족도 및 조직 이미지 향상
경찰관 만족도 25~35% 상승

안전장비 착용의 편의성, 안전성 증가로 현장 근무 스트레스 및 불안감 감소

대국민 신뢰도 및 이미지 제고

최신 기술 도입으로 국민 신뢰 증대 및 경찰 조직의 전문성, 첨단 이미지 강화